레빗에서 벽체를 긋고 창을 내자 (1)
레빗에서 벽을 만들고 창문을 넣는 작업은 쉬운 듯 어렵습니다.
배치까지야 어렵지 않은 일인데, 상세 디테일까지 맞아 들어가게 모델링하는 것은 초보가 하기에는 좀 막막하죠?
머리가 복잡할 때는 예술가 처럼 한 획의 벽을 긋고
창문을 넣어 어떻게 쉽게 이해할 수 있는지 살펴봅시다
허공에 벽을 긋고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oRTP/btrzv3I25Hb/WNPPXWwGVA8IFQDbrVvN0k/img.png)
허공을 하나 준비합니다.
허공이라는 말은 새 프로젝트를 하나 열어보라는 말이겠죠?
미터 단위 Template을 선택해 새 프로젝트를 하나 열어주고, Level 1 평면을 열어봅시다.
https://hnanmal.tistory.com/entry/레빗-템플릿과-프로젝트-파일의-관계
레빗 템플릿과 프로젝트 파일의 관계
레빗을 많이 써보신 분들은 익숙하겠지만 이제 막 프로그램을 접하기 시작한 분들은 템플릿과 프로젝트 파일이 서로 차이가 있는지, 차이가 있다면 무슨 관계인지 혼동하기 쉽습니다. 두가지
hnanmal.tistory.com
템플릿으로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법을 모르시는 분들은 위의 포스트를 참고하세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MIKY2/btrzvKXiqhL/c1YV8P1VgXYLSkqxKjL5z1/img.png)
그다음에는 리본 패널에서 Architecture탭으로 가서 Wall 버튼을 누릅니다.
그러면 벽을 작성할 수 있는 모드로 진입하면서 마우스 포인터가 십자 모양으로 바뀌는 게 보일 거예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JqcOR/btrzweQ5PQd/X745SX3xuOI0IaIhTK1iKk/img.png)
자 위처럼 30미터짜리 벽을 하나 그려줍시다
마우스 포인터로 벽의 시작점을 지정할 수 있고
다시 마우스를 움직여서 끝점을 지정하면 벽하나 가 완성됩니다.
화면의 축에 수직 수평으로 벽을 긋고 싶다면 Shift 키를 누른 채로 마우스 포인터를 움직이면 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AkZr9/btrzxatTLKp/hrJ5bQyIgDZs4qJQZu1FSk/img.png)
벽의 끝점을 지정하면 곧바로 다음 벽을 작성하는 모드가 되는데, 이때 ESC키를 누르면 벽 작성을 종료할 수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sfKKk/btrzxagm6Wi/wMBU7HNaF2Nr7YHjepv8O1/img.png)
평면과 3d 뷰에서 동시에 벽을 관찰해 봅시다. 밋밋하게 생긴 벽이군요.
클릭해서 속성을 확인해 볼까요?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oIdyL/btrzuZm7kmz/FRWUTSAtFKU9ePjm8dlbKK/img.png)
200mm짜리의 평범한 벽체입니다.
이런 벽보다는, 여러 가지 레이어로 다채롭게 구성된 벽을 갖고 실습해보고 싶으니,
작성한 벽의 종류를 바꿔보죠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jHtYH/btrzw0rhTlr/ayWIrRyKZbDM5yUu0nFrwK/img.png)
좌측에 Properties창에서 Basic Wall이라고 쓰여있는 부분을 클릭하면 드롭다운 메뉴가 펼쳐집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AGKLR/btrzwEPzwSX/dUX1fbk0LkLaztc5meymIK/img.png)
“Exterior - Render on Brick on Block”라는 타입의 벽체 항목을 선택하여 우리가 작성했던 벽의 정체성을 바꿔줍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wLZ6z/btrzwfPZV7d/dvJjFE5WlKf6ut7PqP7kqk/img.png)
이제 벽체의 내부 구성을 살펴볼 차례입니다.
위 그림처럼 Edit Type > Structure 항목의 Edit 버튼을 눌러보세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4SvY/btrzwmhiGkS/m5bwXJ0NJUEZ1tux4EHKoK/img.png)
총 8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복잡한 벽이군요!
Layers에서 번호가 10개가 있는데 왜 8개 층이냐고요?
Core Boundary라는 Layer는 진짜 레이어가 아니고, 벽체의 Core 여부를 구분해주는 구분선 역할을 하는 Dummy Layer 이기 때문입니다.
다음 포스트에서 Wrapping과 관련된 내용을 알아볼 때 꼭 이해해야 하는 개념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HNzKH/btrzvbHNPaV/VQPbvzaaqUmZkVJUuZUh51/img.png)
그런데 하나 이상한 게 있습니다.
여러 개의 레이어로 이루어진 벽체인데, 왜 평면에서는 그냥 간단한 한 개 레이어의 벽처럼 보일까요?
벽체의 구성을 평면에서도 확인하고 싶으면, 다음과 같이 하면 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5e2lJ/btrzvczZXqI/apSdEtRgDS4H2LZ1DV7vP0/img.png)
캔버스 하단에 스케일 표시 옆을 보면, Detail Level 버튼이 있습니다.(붉은 점선 표시 부분)
여기를 클릭해서 Detail Level을 Fine으로 설정해주면 평면에서도 레이어 구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창을 낸다
남으로 창을 내봅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R51mH/btrzwmawOF4/e4fH6pWqsgv0Fv543K5UY0/img.png)
이런 멋진 창을 내려면 창을 생성하는 버튼을 찾아봐야겠죠?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09W5/btrzwkX55Fh/MchjiEK6BFSJtVVL3dq3O0/img.png)
여기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yDaN/btrzwlJrDOc/xXRbTK6G4keTRYJB4Dh5mK/img.png)
그런데 버튼을 누르면 허공에서는 작동 안 함 표시가 뜹니다.
왜 그럴까요??
레빗에서는 의미 없는 창의 배치를 허용하지 않습니다.
창문이란 것은 벽에 난 구멍을 필요에 따라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.
따라서 패밀리 자체가 Wall이라는 “호스트” 의 표면에만 배치될 수 있도록 규칙이 되어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lBwa9/btrzwmawQu5/7BzmmTuzTOJSzKlVDjeimk/img.png)
마우스 포인터를 벽 위로 가져가면 놀랍게도 창문이 배치될 모습이 미리 보입니다.
적당한 위치에 클릭하고 나면 배치가 완료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4oMN/btrzwRah0kx/ap5vYFrG2nhEukQ2TZH0Pk/img.png)
잘 보면 벽 중간에 창문 형상을 겹쳐두는 것이 아니고, 창문의 용적만큼을 비워내고 그 위치에 창이 자리함을 알 수 있습니다.
그걸 어떻게 증명하냐고요?
배치하기 전과 후의 벽체 면적을 따져보면 손쉽게 알 수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8mgHq/btrzvxDTU70/5LkO0pKWVrk11GS57zYFRK/img.png)
창문을 배치하기 전 벽체의 면적은 240제곱미터였죠?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L7Zb/btrzxxoRiDK/lW0EQS4tApQEkc1x4JaPQ0/img.png)
창문을 배치하고 난 뒤의 면적은 237.48 제곱미터가 됨을 알 수 있습니다.
창문의 면적만큼 공제되어 계산된 것이죠.
벽과 창의 관계를 따져보자
벽과 창문이 만나는 곳을 자세히 한번 볼까요?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iouko/btrzuWxpyU9/kKB3meT9lFooDsBXX5j5FK/img.png)
창문이 벽의 끝선에 딱 달라붙게 배치가 되었군요
좌측에 보이는 Window Inset이라는 매개변수의 값을 조정하면 벽체와 창문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S9yyx/btrzvLonlIf/opmQCL3fSpIwErmaB7L3F1/img.png)
Window Inset 값을 200으로 조정하고 나니 창문 패널의 위치가 안쪽으로 들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!!!!
내용이 생각보다 많이 길어지네요.
벽체 Wrapping과 관련된 내용은 다음 포스팅에서 설명하도록 할게요!!